본문 바로가기

머니인포112

출산전후 휴가급여 신청 / 출산휴가급여 신청하는 법 출산전후 휴가급여 신청 / 출산휴가급여 신청하는 법 출산 전후 휴가급여란 흔히 '출산휴가'라고 부르는 출산전휴 휴가는 임신 중인 여성근로자의 근로 의무를 면제하고 임금 상실 없이 휴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출산으로 인한 여성근로자의 이직이나 퇴직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오늘은 출산전후 휴가급여 제도와 휴가급여 신청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출산 전후 휴가 기간 2. 휴가기간 임금지급 3. 임금 지급 대상 4. 신청시기 5. 구비서류 및 신청방법 1. 출산 전후 휴가 기간 임신 중의 여성에게 출산 전과 출산 후를 통하여 90일(다태아 일 경우 120일)의 출산전후휴가를 주어야 합니다. 이 경우 휴가 기간의 배정은 출산 후에 45일(다태아 일 경우 60일)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임신 .. 2022. 9. 6.
육아휴직 / 3+3 부모육아휴직제도, 부모 3개월 간 1500만원 지원 육아휴직 / 3+3 부모육아휴직제도, 부모 3개월 간 1500만원 지원 생후 12개월 미만 자녀가 있는 부모가 동시에 육아휴직을 사용할 때, 첫 3개월간 부모 각각 750만원씩 (부모합계 1500만원)을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1. 3+3 육아휴직제도 총 요약표 2. 2022년 육아휴직급여 인상 개편 내용 3. 사업장 육아휴직 지원금 신설 4. 신청방법 1. 3+3 육아휴직제도 총 요약표 구분 1 ~ 3 개월 4 ~ 12 개월 육아휴직 1인만 사용 70 ~150만원 (통상임금 80% 이내) 부모 육아휴직 2인 1개월차 부모 각각 200만원씩 부모 합께 400만원 (통상임금 100%) 70 ~ 150 만원 (통상임금 80% 이내) 부모 육아휴직 2인 2개월차 부모 각각 250만원씩 부모 합께 500만원 .. 2022. 9. 6.
에너지바우처 신청, 바우처 지원금액 상향 에너지바우처 신청, 바우처 지원금액 상향 에너지바우처란, 국민 모두가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해 에너지바우처(이용권)을 지급하여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LPG, 연탄을 구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1. 소득기준 및 중복지원 불가 2. 에너지바우처 지원금액 3. 신청 및 사용기간 1. 자격기준(소득기준) 및 중복지원 불가 소득기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교육급여 수급자입니다. 주거/교육급여 수급자는 '22년 한시적 지원대상이며, 7/1일부터 신청 및 상향 지원금액 적용합니다. 다음의 경우, 겨울 바우처와 중복 지원이 불가합니다. 「긴급복지지원법」에 따라 동절기 연료비[’22년 10월~]를 지원 받은 수급자 한국에너지공단의 .. 2022. 9. 6.
2022년 서울희망 디딤돌 장학금 1인 100만원 2022년 서울희망 디딤돌 장학금 1인 100만원 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은 소상공인 가정의 대학생이 경제적인 이유로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장학금을 지원하여 안정적인 학업 여건을 조성하도록 지원합니다. 1. 서울희망 디딤돌 장학금 2. 장학금 신청 1. 서울희망 디딤돌 장학금 ◎ 사 업 명: 서울희망 디딤돌 장학금 ◎ 지원대상: 코로나19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은 소상공인 가정의 대학생 ◎ 선발인원: 200명 ◎ 장 학 금: 1인 100만원 ◎ 지원성격: 긴급학자금 ◎ 지원기간: 일회성 ◎ 지원절차 2. 장학금 신청 ◎ 신청기간: 2022. 9. 13.(화) 10:00 ~ 9. 22.(목) 17:00 신청 종료일 1~2일 전부터는 신청자가 집중되어 접속 및 신청에 어려움이.. 2022. 9. 5.
교육급여, 교육급여 지원대상 및 지원금액 교육급여, 교육급여 지원대상 및 지원금액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의 초,중,고 재학생의 학비와 학용품비가 지원되는 제도입니다. 아이 키우는데 돈 들어갈 곳이 참 많은데요. 이 제도를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1 지원대상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50%이하 가구 초,중,고 재학생] (단위:월)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금액 97만 2,406원 163만 0,043원 209만 7,351원 구분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금액 256만 0,540원 301만 2,258원 345만 3,502원 2022 기준 중위소득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표 2022 기준 중위소득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표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은 '저소득층에 촘촘하고 두텁게 지원한다'는 정책 기조에.. 2022. 9. 5.
2022 기준 중위소득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표 2022 기준 중위소득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표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은 '저소득층에 촘촘하고 두텁게 지원한다'는 정책 기조에 따라 2022년 기준 중위소득보다 5.47%(4인 가구 기준) 증가한 금액으로 결정됐습니다. 2022년과 비교하여 인상된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을 알아보겠습니다. 1. 2022년 2023년 기준 중위소득 2. 급여별 소득기준 1. 2022년 2023년 기준 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이란 정부 복지 지원사업의 수급자 선정기준 등으로 활용되는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으로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합니다. '중위소득'은 전 국민을 100명이라고 가정 시 소득 규모 순으로 줄을 세웠을 때 50번째 사람의 소득으로 통계청에서 표본조사를 통.. 2022. 9. 5.